본문 바로가기
공부

근대 디자인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필기)

by 영국유학생감정 2023. 1. 14.
반응형

근대 디자인사

근대 디자인사

미술공예운동 수공예 부활을 주장
아르누보 식물의 줄기를 연상, 19세기 말 유럽 신예술양식
유겐트스틸 추상화, 양식화
분리파 과거의 전통 양식으로부터의 분리
독일공작연맹 기계생산의 질 향상
큐비즘 자연과 인간을 기본적이고 기하학적인 단순 형체로 표현
구성주의 러시아에서 전개되었던 혁명적 조형운동
데 스틸 모든 조형분야의 일체화를 목표
순수주의 간결하고 명확한 조형 표현을 주장
바우하우스 예술과 기술의 종합을 실현
아르데코 장식 미술을 의미

디자인

미술공예운동(Art & Craft Movement)

- 19세기 후반 영국에서 윌리엄 모리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공예 개량 운동이다.

- 중세 고딕 양식의 미를 추구하였으며 유리공예 벽화, 건축, 가구 디자인 부분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다.

- 수공예 제품을 제작하다보니 상류층이나 귀족들에게 국한되어 서민을 위한 대중적인 제품을 생산해내지는 못했다.

- 예술의 적극적인 사회화를 실천하기 위한 운동으로 미술 기계생산 제품을 부정하고 수공예 혁신에 의한 품질 회복을 주창하였다.

- 독일공작연맹은 바우하우스의 조형활동에 영향을 주어 근대적인 디자인 운동 전개의 시발점이 된 최초의 근대 미술 운동이다.

 

아르누보(Art Nouveau)

- 아르누보의 창시자는 빅토르 오르타이다.

- 아르누보는 "새로운 예술" (프랑스어)이라는 뜻으로, 장식미술의 일종이다.

- 19세기 말 유럽 신예술 양식으로 자연의 유기적 형태와 감각적이고 곡선적인 비대칭 구성을 특징으로 하였으며 주로 담쟁이 넝쿨, 백조, 잠자리, 수선화 등의 형태를 모티브로 하여 곡선적이고 동적인 식물문양을 사용했다.

- 기계생산에 대한 대응 부족으로 인해 아르누보는 쇠퇴하게 되었다.

- 서정성이 강한 조형 표현 운동으로, 유럽의 전통적 예술에 반발하고 새 양식 창조를 지향하여 자연주의, 자발성, 단순, 기술적인 완전을 이상으로 하였다.

- 흑백의 강렬한 조화와 이국적 양식, 생동적, 쾌락적, 생태적, 여성적, 유기적 곡선, 비대칭 구성이 특징이다.

- 윌리엄 브레들리, 오브리 비어즐리, 가우디 등이 대표적인 작가이다.

- 회화, 건축, 공예, 인테리어, 그래픽 등의 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유겐트스틸(Jugendstill)

- 독일식 아르누보라고도 한다. 프랑스의 아르누보에 비해 중후한 편이다.

- 선구자는 헨리 반 데 벨데로서, 식물적 요소인 꽃과 잎 등을 활용해 곡선의 변화율동적인 패턴에 의해 추상화, 양식화된 점이 특징이다.

 

분리파(Secession)

- 라틴어로 '분리하다'라는 뜻을 지닌 단어가 어원. 19세기 말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일어난 신미술 운동이다.

- 1987년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과거의 전통 양식으로부터의 분리를 목적으로 일어난 운동으로서 시셰션은 클래식한 직선미를 강조하여 단순한 구성 속에 기하학적인 형식으로 개성창조를 목적으로 한 운동이다. 오스트리아의 새로운 조형 활동으로서 아르누보의 신예술양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 '모든 새 양식은 새로운 재료, 새로운 생각이 기존 형식의 변경과 신형식을 요구하는 데서 성립한다'라고 하는 정신으로 표현한 조형운동이다.

디자인사

독일공작연맹(DWB)

- 1907년 헤르만 무테지우스를 중심으로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물건의 표준화(규격화)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기계 생산의 질 향상과 적합한 조형을 찾기 위한 운동이다.

- 미술가, 공예가와 실업계를 포함한 산업인 등이 모여 미술과 공예를 개혁하기 위해 만든 디자인 진흥기관이다.

- 현대 디자인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공업 제품의 양질화와 규격화를 추구한다.

- 독일공작연맹의 이념은 바우하우스(근대 조형예술학교)를 탄생시킨 배경이 되었으며 미술과 근대공업이 결합한 공업 디자인의 기초가 마련된 계기가 되었다.

 

큐비즘(Cubism)

- 1907년 ~ 1914년 파리에서 일어났던 미술 혁신 운동이다.

- 20세기 중요한 예술운동의 하나로서, 대표적인 작가로는 피카소, 브라크, 드랭 등이 있다. 자연과 인간을 기하학적인 단순 형태로 표현했다.

 

구성주의(Constructivism)

- 1913년 ~ 1920년 러시아에서 전개되었던 혁명적 조형운동이다.

- 개인적이고 실용성이 없는 예술을 모두 부정하고 산업주의와 집단주의에 입각한 사회성을 추구하려 하였다.

- 활동범위는 디자인에서 건축, 도시계획에 이를 정도로 광범위했다.

- 주요한 작가로는 타틀린, 로드첸코, 가보, 페브스너 등이 있다.

 

데 스틸

- "양식(The Style)"이라는 뜻으로, 모든 조형분야의 일체화를 목표로 한 신조형주의 운동이라고 불린다.

- 추상적 형태와 조형을 추구하였다.

- 네덜란드에서 시작된 기하학적인 추상미술 운동으로서 바우하우스를 중심으로 하는 모더니즘 디자인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몬드리안, 반통겔루 등이 1917년 파리에서 결성한 그룹의 명칭이며 그룹에서 발간한 잡지의 이름이기도 하다.

- 개인적, 개성적인 표현성을 배제하였다.

- 추상적 형태, 수직, 수평의 화면 분할, 3원색과 무채색만을 사용하였으며, 순수성과 직관성을 중시하는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에서 비롯한 근대 디자인 운동이다.

 

순수주의(Purism)

- 1920년 전후에 프랑스에서 오장팡 등이 주창하여 일어난 운동이다.

- 기능주의 관점에서처럼 기능을 모두 살리고, 장식성이나 과장을 거부하고 간결하고 명확한 조형 표현을 주장하였다.

- 건축, 조각, 공예, 음악, 연극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르코르뷔지에의 여러 작품에 구체화된 건축 분야는 현대건축의 형식에 공헌을 했다.

 

미술 디자인

바우하우스(Bauhaus)

- 바우하우스는 1919년 월터 그로피우스가 설립한 종합조형학교이다.

- 독일 바이마르에서 창설되었다.

- 바우하우스의 교육은 기초, 공방, 건축교육 등의 순서로 실시되었다.

- 바우하우스의 교수인 모흘리나기는 자연의 법칙을 학생들에게 체험하게 하여 기능적, 합목적인 새로운 미를 추구하고 공작 교사와 형태 교사로 이루어져 이론교육과 실제교육을 병행하였다.

- 바이마르 바우하우스는 1925년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바우하우스 데사우로 옮겼으며 2기 바우하우스는 "데사우 바우하우스"이다.

- 나치 정권에 의해 강제 폐교가 된 바 있으며 1983년 시카고에서 모흘리나기와 그로피우스에 의해 디자인 학교가 설립되었다.

- 독일공작연맹의 이념을 계승한 운동으로서 예술과 공업기술의 합리적 통합이 목표이다.

- 바우하우스의 대표적 인물로는 월터 그로피우스, 요하네스 이텐, 바실리 킨딘스키, 폴 클레, 오스카 슐레어 등이 있다.

 

바우하우스 세대별 특징

시기 명칭 특징
1기 바이마르 바우하우스 월터 그로피우스가 종합조형학교 개교
2기 데사우 바우하우스 조형학교로서 이론교육과 실제교육을 병행
3기 폐교 나치 정권에 의한 강제 폐교
4기 뉴바우하우스 1983년 시카고에서 모흘리나기와 그로피우스에 의해 재시작

 

아르데코(Art Deco)

- 장식미술을 의미하며 1925년 파리의 현대 장식산업 미술국제박람회의 약칭에서 유래되었다.

- 유동적인 곡선을 이용했던 아르누보와는 대조적으로 곡선, 동심원 등을 기하학적으로 변형하여 기계제품에 적합하도록 하였으며 대중화를 중시한 조형운동이다.

- 수공예 중심으로 복귀하려 하였으나, 부분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경제적인 재료를 사용하기도 했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모더니즘 : 1920년대 중반부터 새로운 국제적 디자인 운동이 형성되기 시작한 모더니즘 운동은 건축 분야에 큰 영향을 끼치며, 차츰 디자인 전반에 걸쳐 그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유기적 모더니즘 : 1940년대 중반부터 가느다란 추상적인 덩어리 형태와의 균형, 간단하고 순수하며, 비대칭적이며, 아주 자유로운 형태의 디자인 양식이다. 꾸밈과 장식을 거부하고, 기하학적인 형태의 선호가 높아 간결성, 명쾌성 등의 가치를 인정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 : 1960년대 중반에 모더니즘의 쇠퇴를 지적하면서, 멤피스 그룹을 대표로 기능주의에 입각한 모던 디자인에 항거하며 인간의 정서적, 유희적 본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지닌 양식이다. 수직, 수평의 규격화된 디자인에 대중이 실증을 느끼게 됨으로써 몇몇 그래픽 디자이너에 의해 우연히 시도된 스타일이 확산되었다.

 

기능주의

기능주의는 19세기 후반에 디자인의 아름다움보다는 기능의 편리함을 우선시하는 사조이다. 오토 바그너, 루이스 설리반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기능주의 작가들의 주장

루이스 설리반 형태는 기능으로부터 유래된다.
빅터 파파넥 디자인의 복합기능이란 방법, 용도, 필요성, 목적지향성, 연상, 미학의 여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르코르뷔지에 집은 살기 위한 기계이다.
오토 바그너 예술은 필요에 의해 창조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