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과 유아발달
- 발달이란 인간의 생명이 시작되는 수정의 순간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전생애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변화의 양상과 과정을 의미한다.
- 유아발달의 기본원리는 일정한 순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나 그 속도는 일정하지 않으며 개인차와 각 영역에 대한 상호밀접한 연관이 있다.
- 유아발달의 논쟁점으로는 유전과 환경, 능동과 수동, 초기발달이 이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여부, 발달이 연속적인지 불연속적인지에 대한 것들이 있다.
-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중세를 거쳐 현재까지 유아발달에 대한 인식의 흐름이 변화되어 왔다.
유아발달에 관한 프로이트와 에릭슨의 이론
- 프로이트는 모든 인간의 신체적 이상은 정신적 갈등에서 비롯됨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정신적 결정론이라 하였다.
- 유아의 각 발달 단계에서의 본능적 욕구를 이해하고 유아가 이 본능적 욕구를 만족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에릭슨은 인간 발달에 있어서 사회적 맥락을 강조하였으며, 8단계로 설정하고 있다. 에릭슨은 인간발달의 전생애적 접근을 사고한 최초의 인물이다.
- 에릭슨의 이론에서는 건강한 유아는 반 정도만 잘 보살펴주면 내적 성장법칙에 따라 건강하게 성장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파블로프와 반두라
- 파블로프 이론의 기본개념은 자극일반화, 자극변별소거, 자발적 회복이 있다.
- 스키너 이론의 기본개념은 강화와 벌, 강화의 상대성, 조형이 있다.
- 반두라의 이론은 관찰학습 모델링이 광범위한 인간의 행동발달에 기초가 된다고 주장한다.
- 반두라는 강화의 종류를 대리적 강화와 자기 강화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도식과 인지발달
- 피아제는 인간이 환경을 해석하는 정신적 틀을 도식이라 하였으며, 행동도식, 상징도식, 조작도식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 평형화는 기본적으로 동화와 조절 두 기능의 통합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인지발달 단계는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조작기, 형식적조작기 등의 4단계로 나뉜다.
- 이후 연구에서도 피아제 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각 단계의 도달시기가 늦기는 하였으나 그 발달특성은 그대로 나타남을 발견했다.
유아기의 각인과 애착
- 로렌츠는 여러 동물의 행동을 관찰하고 생존가능성을 증진시키는 행동패턴을 발견했는데, 이를 각인이라고 정의했다.
- 애착이란 영아가 주 양육자와 맺는 강한 정서적 유대관계로서, 생존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발달에도 유용하다.
유아발달에 관한 이론적 접근
- 사회문화적 이론은 모든 사회의 기본적인 목적이 그 사회에 없어서는 안될 문화적 가치와 기술을 유아가 획득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아발달의 모든 측면은 이러한 점을 배경으로 고려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 생태학적 체계이론은 개체를 둘러싼 여러 환경 층의 영향을 받는 복잡한 관계들의 체계 속에서 유아발달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유아기의 두뇌발달
- 두뇌는 생의 초기에 놀라운 속도로 성장한다.
- 뇌발달이란 뇌의 크기, 형태, 뇌세포간 연결의 밀집도, 뇌세포간의 전달 속도가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 뇌발달 과정에서 선천적인 유전도 중요하지만 환경 역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신경과학적 지식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뇌과학을 교육 실제에 접목하려는 대중의 기대가 현실을 앞지르고 있다.
- 뇌기반 교육의 원리로는 변화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 발달적 민감성의 원리, 상호작용의 원리, 결합성의 원리, 기억 유연성의 원리가 있다.
유아기의 신체적 발달
- 유아들은 자신의 몸이나 가족 또는 또래의 몸에 관심을 가지고 비교하며 신체가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느낌과 생각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
- 유아기에는 근육보다 지방 조직이 먼저 발달한다.
- 유아기에는 행동반경이 넓어지고 탐색욕구가 강해지면서 대근육 운동이 발달한다.
- 눈과 손을 협응하여 손기술을 정확히 구사하는 능력을 미세운동 혹은 소근육 운동이라 한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생교육론 (1) (0) | 2022.12.07 |
---|---|
유아발달 (2) (完) (0) | 2022.12.06 |
문화심리학 (3) (完) (0) | 2022.12.05 |
문화심리학 (2) (0) | 2022.12.05 |
문화심리학 (1) (0) | 2022.1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