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학의 연구 방법
- 연구는 임상심리학의 토대가 되는 활동이다.
- 임상경험과 관찰은 흔히 심리학적 연구의 가설을 제공한다.
- 연구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에 존재하는 인과관계를 증명하려 한다.
- 독립변인 이외 다른 가외변인의 혼입을 배제하는 노력을 실험적 통제라고 하며, 그 방법은 피험자의 무선 할당이다.
- 연구 결과를 정리해서 통계적으로 처리할 때, 연구 표집에서 얻은 수치가 우연의 일치가 아님을 입증하는 기준이 통계적 유의성이다.
- 연구 방법론은 관찰, 사례 연구, 단일 사례 설계, 실험 연구, 상관 연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단일사례설계는 ABAB설계라 불리며, 한 명의 피험자들 대상으로 통제집단을 사용하지 않고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 가설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인과관계를 입증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연구 방법은 실험 연구이다.
- 실험의 타당도에 관련된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내적 타당도 ≒ 통계적 유의성 ≒ 성과 연구에서 효능 연구
: 외적 타당도 ≒ 임상적 유의성 ≒ 성과 연구에서 효과 연구
심리평가와 면접
- 진단을 내리고, 치료를 계획하고, 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검토하는 과정을 심리평가라고 한다.
- 면접은 일반적 대화에 비해서는 더 목적적이고, 심리검사에 비해서는 더 유연성이 있다.
- 내담자의 인지, 성서 및 행동 측면을 질문을 통해 타진해서 개괄적인 정보를 얻기 위한 것이 정신상태 면접이다.
- 진단을 구조적인 면접에서는 흐름도 형식에 따라 구체적이고 표준화된 질문을 하게 되어 있다.
- 전통적 평가는 행동 기저의 성격특징을 측정하려 하나, 행동 평가는 행동과 상황의 상호작용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 스키너(Skinner)의 기능 분석은 특정 행동을 선행 사건과 그 결과의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 행동 평가의 유형으로는 자연 관찰, 통제된 관찰, 자기관찰 등을 들 수 있다.
지능과 지능검사
- 지능 개념의 공통요소는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 학습 및 지식 습득 능력, 그리고 추상적 사고의 능력이다.
- 스피어먼(Spearman)의 지능이론은 하나의 일반 지능인 g factor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지만, 써스톤(Thurstone)은 단일 요인이 아니라 7개의 기본정신능력으로 구성된다고 본다.
- 가드너(Gardner)는 사람마다 다른 지능을 가진다는 다중지능이론을 제시하였으나, 경험적 증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 스턴버그(Sternberg)는 지능을 이루는 성분뿐만 아니라, 체험적 측면 및 맥락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통합적인 접근을 취한다.
- 최초의 지능검사는 1905년에 개발된 Binet-Simon Scale이었는데, 이는 아동용 지능검사였다.
- 최초의 성인용 지능검사는 Wechsler-Bellevue(1939)인데, Wechsler의 전통을 따르는 지능검사는 2008년에 이르러 WAIS-IV, WISC-IV까지 출간되었으며, 우리나라에도 둘 모두가 표준화되었다.
- 2012년에 출간된 K-WAIS-IV는 기존의 언어성, 동작성 지능의 개념을 버리고, 언어이해 - 지각추론 - 작업기억 - 처리속도로 구성되는 4요인 구조를 채택하였다.
성격검사와 MMPI
- 성격검사는 성격뿐만 아니라, 정서, 대인관계, 자아상 등 비인지적 심리기능 전반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 성격검사는 객관적 성격검사와 투사법 검사로 나뉜다.
- 성격검사, 특히 투사법 검사의 타당도에 대한 비판적 의견이 있으나, 임상 현장엣는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 MMPI는 경험적 제작 방법에 의해 만들어졌다.
- MMPI는 검사 태도를 알아보는 '타당도' 척도와 정신병리를 평가하는 임상척도로 구성된다.
- 타당도 척도 중 L, K, S는 자신을 더 좋게 보이려는 시도를 반영하고, F, FB, F(p), FBS는 더 나쁘게 보이려는 시도를 반영한다.
다양한 심리검사 방법
- 로샤 부호화를 배우는 것은 일종의 언어를 배우는 과정과 비슷하다.
- 로샤의 부호화는 위치, 발달질, 결정인, 형태질, 쌍반응, 평범반응, 조직화 활동 점수, 내용, 특수점수 등 9가지이다.
- 로샤 속에는 형태, 운동, 흑백, 컬러, 명암 등 다양한 요소가 있는데, 그중 무엇이 눈에 들어오냐에 따라 보는 사람의 속마음의 일면이 드러난다.
- TAT는 인물이 있는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꾸며보는 검사로서, 이를 통해 피검자의 목표, 중심 갈등, 욕구, 압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 TAT는 체계적인 채점을 거의 하지 않으며, 임상가가 이야기 속의 주제를 분석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 투사적 그림 검사는 언어와 지적 통제가 자리잡기 전에 있었던 원시적 성격층에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집 그림은 원가정과 가족관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고, 나무와 사람 그림은 자아상에 대한 자료를 품고 있다.
심리상담에서의 자문
- 자문의 목적은 '피자문가와 내담자의 문제 해결', '피자문가가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게 촉진하는 것', '유사한 문제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의 강화이다.
- 자문은 심리치료와는 다르게 다수의 내담자를 간접적으로 도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자문은 크게 정신건강 자문과 조직 자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자문의 종류는 내담자 중심 사례 자문, 피자문가 중심 사례 자문, 프로그램 중심 행정 자문, 그리고 피자문가 중심 행정 자문으로 나뉜다.
- 치료자가 지시적 대 비지시적인 역할로 나뉘듯, 자문에서도 과정지향적 간접 역할과 과제 지향적 직접 역할로 구분된다.
- 자문가의 역할은 문제해결을 위한 조언을 제공하는 전문가 역할뿐만 아니라, 교육자, 옹호자, 협력자, 진상조사자, 과정전문가의 역할도 수행한다.
- 자문의 과정은 의뢰 사유의 이해, 평가, 중재, 종결, 추수, 자문의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
- 자문의 실제에서는 조직원들의 저항, 자문가에게 악역 맡기기 등의 도전들이 발생할 수 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심리학 (2) (2) | 2022.12.02 |
---|---|
소비자심리학 (1) (0) | 2022.12.02 |
임상심리학 (2) (0) | 2022.11.30 |
임상심리학 (1) (0) | 2022.11.30 |
청소년이해론 (4) (完) (0) | 2022.11.30 |
댓글